Daeeungwanho
대응환호(大鷹丸縞)
품종 설명 |
---|
대응환(大鷹丸)의 자체 실생에서 출현한 두엽의 호다. 무늬는 약간 후천성으로, 최상의 빗살 줄무늬에서 굵은 봉호(棒縞)와 편호, 화려한 무늬까지 다채로운 줄무늬(縞)가 혼재하여 기대의 즐거움을 주는 매력적인 일품이다. 잎은 끝이 둥근 희엽 모양의 왜계(矮鷄)계 두엽으로, 모종과 같이 아래로 갈수록 잎살이 두꺼워져, 볼록한 렌즈처럼 위로 오른다. 니축에 니근이며, 붙음매는 월형이다. 한편, 본 품종의 청근 개체(2000년경 한국의 부산 농원에서 [대응환호]의 니근이 청근으로 변화)를 일본에서는 '천사환(天賜丸)'으로 부른다. |
출처 (사) 대한민국풍란연합회 |
정면
측면
후면
윗면
촬영일 (2024-01-22)
사진과 동일한 식물이 발송됩니다.
Daeeungwanho
대응환호(大鷹丸縞)
품종 설명 |
---|
대응환(大鷹丸)의 자체 실생에서 출현한 두엽의 호다. 무늬는 약간 후천성으로, 최상의 빗살 줄무늬에서 굵은 봉호(棒縞)와 편호, 화려한 무늬까지 다채로운 줄무늬(縞)가 혼재하여 기대의 즐거움을 주는 매력적인 일품이다. 잎은 끝이 둥근 희엽 모양의 왜계(矮鷄)계 두엽으로, 모종과 같이 아래로 갈수록 잎살이 두꺼워져, 볼록한 렌즈처럼 위로 오른다. 니축에 니근이며, 붙음매는 월형이다. 한편, 본 품종의 청근 개체(2000년경 한국의 부산 농원에서 [대응환호]의 니근이 청근으로 변화)를 일본에서는 '천사환(天賜丸)'으로 부른다. |
출처 (사) 대한민국풍란연합회 |
정면
측면
후면
윗면
촬영일 (2024-01-22)
사진과 동일한 식물이 발송됩니다.